[이달의 소장품] 2025.4

  • 관리자
  • 2025.04.24
  • 조회수 43
언론보도

언론보도

전태일기념관 프로젝트 전시 <이달의 소장품> 전태일기념관의 <이달의 소장품>은 기념관 자료를 통해 노동역사를 재조명하여 노동권 보장을 위해 행해졌던 다양한 노력을 되짚고 노동권 보호의 필요성을 알리는 프로젝트 전시입니다. 4월, 서울의 봄이 지다: 신군부의 노동계 정화조치 시행 ① 1979년 10·26 사건 이후, 학생, 노동자 등 시민 사회의 주도로 수많은 민주화운동이 전개되며 ‘서울의 봄’이 피어났다. 그러나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를 설치하고 “노동조합 정화조치”를 실시했다. 그로 인해 한국노총과 산별노조를 지배해온 어용 간부의 축출 및 지역지부가 해제되고, 1970년대 노동운동을 주도해 온 민주노조의 파괴가 진행됐다. “1980년 5월 17일 이후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한 정치군부권력은 그해 8월 이후 대대적인 노동운동 탄압을 자행하였읍니다. ⋯ 노동청은 소위 노동조합 정화지침을 시달(1980.8.21.)하였습니다. 이에 근거하여 12개 산별노조위원장급 12명을 노동계에서 추방하였고 1백 5개 지역지부를 탈법으로 강제 해상하였고 노조간부 191명을 노동계로부터 이른바 정화조치하고 3년간 노동운동을 금지하는 무자비한 대탄압을 자행하였던 것입니다.” 1980년 12월 노동계 정화조치의 본격적 시행으로, 복수 노조 금지‧제3자 개입 금지‧정치활동 금지 등 노동법 전면 개악이 단행됐다. 이어 노동자들을 연행하여 조사를 벌였고, 청계노조 간부 8명도 체포되었으나 곧 석방된다. 그러나 다음 해 1월 6일 청계노조는 농성 및 투쟁적인 구호를 이유로 서울특별시장의 조직 해산 명령을 통보받아 강제 해산됐다. 경찰은 1월 21, 22일에 걸쳐 청계노조 사무실의 서류 등을 압수하고 폐쇄했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조합원과 몇몇 간부는 1월 30일 아시아 아메리카 자유노동 기구(일명 아프리) 한국사무소를 점거하여 노조 강제해산에 반대하는 농성을 단행한다. 6시간 동안의 농성 이후, 1월 31일 참여자 21명 전원 연행됐다. 조합원 대부분이 구류 또는 약 1~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청계노조는 이에 굴하지 않고 노조 복구를 위한 비공개 투쟁과 모임으로 노조 활동을 이어갔다. ■ 문 의 : 02-318-0903